본문 바로가기

초급자 홀덤 전략

홀덤 확률 계산법: 플러쉬·스트레이트 가능성 계산방법

profile_image
최고관리자 레벨
2025-10-27 15:06 10 0

본문

홀덤 확률 계산법: 플러쉬·스트레이트 가능성 계산방법

1. 플러쉬(Flush) 확률 계산법 완전 정리

플러쉬(Flush)는 텍사스 홀덤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면서도 강력한 족보 중 하나로 같은 무늬의 카드 5장이 모이면 완성되며 스트레이트보다 강하고 풀하우스보다 약합니다. 예를 들어, 하트 A, 하트 10, 하트 8, 하트 5, 하트 3이라면 플러쉬가 성립됩니다.
이 족보는 보기에는 단순하지만, 실제 게임에서는 완성 확률 계산이 전략의 핵심이 되기 때문에 플러쉬를 노릴 때의 확률을 이해하면 콜, 폴드, 레이즈의 판단이 훨씬 명확해지고, 손패를 확률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1-1. 플러쉬가 성립되는 기본 조건 알아보기

플러쉬를 만들기 위해서는 5장의 카드가 같은 무늬(Suit) 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플랍(공통카드 3장)에서 하트가 2장 나오고, 내 핸드에 하트 2장이 있다면 총 4장의 하트를 보유한 상태로 플러쉬 드로우(Flush Draw) 상황이 되며 이때 남은 한 장의 하트가 턴(Turn) 또는 리버(River)에서 나오면 플러쉬가 완성됩니다.

포커 덱은 총 52장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무늬(하트, 스페이드, 다이아, 클럽)는 각각 13장씩 존재합니다. 이미 4장의 같은 무늬를 보유하고 있다면, 남은 덱에는 9장의 해당 무늬 카드가 남아 있게 되는데 이 9장을 아웃(Outs)이라고 하며, 플러쉬가 완성될 가능성을 계산할 때 핵심이 되는 수치입니다.

핵심 포인트

  • 플러쉬 완성 조건: 같은 무늬 5장 확보
  • 가능한 아웃 수: 9장
  • 카드 덱 전체 수: 52장
  • 이미 확인된 카드 수(플랍이후): 5장 (내 카드 2 + 플랍 3)

 

1-2. 홀덤에서 플러쉬 드로우 확률 계산법

플러쉬 드로우가 생겼을 때, 턴과 리버에서 플러쉬가 완성될 확률은 상황에 따라 다르며 대표적으로 플랍 이후 턴 한 장만 볼 수 있는 확률, 그리고 턴·리버를 모두 볼 수 있을 때의 확률로 나뉘어 계산합니다.

1) 턴에서 플러쉬가 완성될 확률

  • - 남은 카드: 47장 (전체 52장 중 내 카드 2장 + 플랍 3장 제외)
  • - 아웃: 9장
  • - 플러쉬 완성 확률 = 9 / 47 ≈ 19.1%

즉, 턴 카드 한 장만 볼 수 있을 때 플러쉬가 완성될 확률은 약 19%입니다.

2) 턴과 리버를 모두 볼 때의 확률

턴에서 완성되지 않아도 리버에서 완성될 가능성도 포함하면,

1 - [(47-9)/47 × (46-9)/46] ≈ 34.97%

즉, 플랍에서 플러쉬 드로우가 생긴 경우, 리버까지 볼 수 있다면 약 35% 확률로 플러쉬가 완성됩니다.

3) 간단한 공식으로 계산하는 방법

홀덤에서 자주 사용하는 공식이 있습니다. 바로 4와 2의 법칙(Rule of 4 and 2)입니다.

  • - 플랍 이후 2장의 카드를 남겨두었을 때: 아웃 수 × 4
  • - 턴 이후 1장의 카드만 남았을 때: 아웃 수 × 2

플러쉬의 경우 아웃이 9장이므로,

  • - 플랍에서 턴+리버를 모두 본다면 → 9 × 4 = 약 36%
  • - 턴 이후 리버 한 장만 본다면 → 9 × 2 = 약 18%

이 간단한 계산만으로도 실전 중 빠르게 확률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1-3. 실전에서 플러쉬 확률을 응용하는 전략

확률 계산은 단순한 수학이 아니라 전략적인 판단의 기준이 되며 예를 들어, 플랍 이후 플러쉬 드로우가 생겼다고 해도, 무작정 콜하기보다는 포트 오즈(Pot Odds)를 계산해 손익분기점을 비교해야 합니다.

1) 포트 오즈(Pot Odds) 이해

포트 오즈는 현재 팟(배팅된 금액) 대비 콜을 해야 하는 금액의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팟이 10,000원이고 상대가 2,000원을 베팅했다면,

포트 오즈 = 2,000 / (10,000 + 2,000) = 약 16.7%

이러한 경우, 나의 플러쉬 완성 확률(약 35%)이 포트 오즈보다 높기 때문에 콜이 유리한 상황이 됩니다.

2) 리스크 관리와 심리전

플러쉬 드로우는 완성 시 강력하지만, 상대도 플러쉬를 노리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보드에 같은 무늬가 3장 이상 깔린 상황에서는, 나보다 더 높은 플러쉬(예: A 하이 플러쉬)를 가진 상대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3) 반대로 활용하기

또한, 반대로 상대가 플러쉬 드로우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역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보드에 같은 무늬 2~3장이 깔린 상황에서 큰 베팅을 하면, 플러쉬 드로우를 가진 상대는 확률적으로 ‘콜’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기 때문에 확률적 불리함을 압박으로 전환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입니다.

플러쉬는 단순히 운에 맡기는 족보가 아닌 확률적 사고와 수학적 분석을 통해 상대의 패턴을 읽고, 이길 확률을 수치로 근거화 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이트 확률 계산과 전략적 활용

2. 스트레이트 확률 계산과 전략적 활용

스트레이트(Straight)는 연속된 숫자의 카드 다섯 장으로 이루어진 족보로 무늬가 다르더라도 숫자가 연속되면 성립되며, 예를 들어 5♣6♦7♥8♣9♠는 완벽한 스트레이트입니다.
플러쉬와 마찬가지로 홀덤에서는 자주 등장하는 드로우(가능성) 패이기 때문에, 확률 계산과 전략적 접근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스트레이트는 형태에 따라 완성 확률이 크게 달라지므로, 정확한 아웃 수 계산과 턴·리버 확률 이해가 핵심 포인트입니다.

 

2-1. 스트레이트의 패턴과 아웃 수 계산

스트레이트 드로우는 크게 오픈엔디드(Open-ended)와 인사이드(Inside) 두 가지로 나뉘며 두 경우 모두 연속된 카드 중 한 장만 나오면 완성되지만, 아웃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확률 차이가 큽니다.

1) 오픈엔디드 스트레이트 드로우

예를 들어, 내 패가 7♠8♦이고 플랍이 9♣10♠2♥라면, 연속되는 카드가 7-8-9-10으로 이어지고 6 또는 J 중 하나만 나오면 스트레이트가 완성됩니다.

이때 가능한 아웃 수는 6: 4장, J: 4장, 총 아웃 8장

즉, 오픈엔디드 스트레이트 드로우의 아웃 수는 8장이며, 플러쉬(9아웃)보다 약간 낮은 확률입니다.

2) 인사이드 스트레이트 드로우

이번엔 자신의 패가 7♠9♦이고 플랍이 8♣10♠2♥라면, 연속된 카드 중 하나(6, 7, 8, 9, 10)에서 7이 빠져 있으므로 오직 7이 나와야 스트레이트가 완성됩니다.

이때 가능한 아웃 수는 단 4장뿐이며 총 아웃 4장 (인사이드 스트레이트 드로우의 일반적인 형태)

즉, 오픈엔디드에 비해 완성 확률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단순히 스트레이트 드로우니까 따라가야지라는 생각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3) 더블 배럴 드로우 (복합형 드로우)

가끔은 보드 구조상 오픈엔디드와 인사이드가 동시에 가능한 형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랍이 6-7-9이고 내 카드가 8과 10이라면, 5 또는 J가 나와도 스트레이트가 완성되는 상황이므로 이런 경우 아웃이 8장이 아닌 10장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스트레이트 드로우는 보드 구조와 내 카드 조합에 따라 확률이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항상 아웃을 세밀하게 계산해야 합니다.

 

2-2. 스트레이트 완성 확률 공식과 예시

스트레이트의 완성 확률은 플러쉬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아웃 수를 기준으로 턴·리버를 모두 본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확률이 나옵니다.

1) 오픈엔디드 스트레이트 드로우 (8아웃 기준)

  • - 턴에서 완성될 확률: 8 / 47 ≈ 17.0%
  • - 턴과 리버를 모두 볼 확률: 1 - [(47-8)/47 × (46-8)/46] ≈ 31.5%

즉, 플랍 이후 턴과 리버까지 본다면 약 31% 확률로 스트레이트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2) 인사이드 스트레이트 드로우 (4아웃 기준)

  • - 턴에서 완성될 확률: 4 / 47 ≈ 8.5%
  • - 턴과 리버를 모두 볼 확률: 1 - [(47-4)/47 × (46-4)/46] ≈ 16.5%

인사이드 스트레이트 드로우는 확률적으로 매우 낮은 편이기 때문에, 팟오즈가 충분히 맞지 않는다면 리스크가 큰 베팅이 될 수 있습니다.

3) 직관적으로 계산하는 법

플러쉬에서 소개한 4와 2의 법칙은 스트레이트 계산에서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 - 오픈엔디드(8아웃): 8 × 4 = 32%
  • - 인사이드(4아웃): 4 × 4 = 16%

해당 법칙은 정확한 수학적 계산은 아니지만, 실전에서 빠르게 확률을 추정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2-3. 플러쉬 드로우와 스트레이트 드로우의 비교 전략

플러쉬 드로우와 스트레이트 드로우는 비슷해 보이지만, 확률·위험도·보상 구조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같은 드로우 상황이라도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방향이 달라집니다.

1) 완성 확률 비교

  • - 플러쉬 드로우(9아웃): 약 35%
  • - 오픈엔디드 스트레이트 드로우(8아웃): 약 31%
  • - 인사이드 스트레이트 드로우(4아웃): 약 16%

즉, 확률만 놓고 보면 플러쉬 > 오픈엔디드 > 인사이드 순으로 유리하며 이 차이는 곧 베팅 선택의 기준이 됩니다.

2) 리스크 관리

플러쉬 드로우는 무늬가 겹치면 강력한 족보로 이어지지만, 보드에 같은 무늬가 많을수록 상대도 같은 플러쉬를 가질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 스트레이트 드로우는 무늬와 무관하기 때문에, 완성 시에는 비교적 안전하게 팟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보드 구조를 고려해야 합니다.

  • - 보드가 무늬로 꽉 차 있다면 → 플러쉬 드로우는 리스크가 큼
  • - 보드가 숫자 중심으로 이어져 있다면 → 스트레이트 드로우는 상대에게 쉽게 읽힐 수 있음

3) 복합 드로우의 우위

가장 이상적인 상황은 플러쉬 드로우와 스트레이트 드로우가 동시에 가능한 복합 드로우(Combo Draw)입니다. 예를 들어, 8♥9♥를 들고 있고 플랍이 10♥J♣Q♥라면, 플러쉬 완성 가능성은 하트 9아웃, 스트레이트 완성 가능성은 K 또는 7 (각 4아웃) 총 15아웃이 가능한 상황으로, 리버까지 보면 약 54% 확률로 족보가 완성되는데 이 경우에는 적극적인 세미블러프(세미 블러핑)가 유효하며, 공격적으로 팟을 키우는 전략도 가능합니다.

스트레이트 확률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수치를 외우는 것이 아니며 게임 중 흐름을 읽고, 확률과 상황을 결합해 언제 베팅을 강화하고 언제 물러서야 하는지 판단하는 근거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확률은 결국 이길 가능성을 수치로 보는 눈을 키워주는 도구이기 때문에, 수학적 계산과 직관적 판단을 함께 발전시킬수록 플레이의 깊이도 자연스럽게 높아지게 됩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상담신청